'Information'에 해당되는 글 13건

  1. 2007.03.30 PE
  2. 2007.03.30 PP
  3. 2007.03.30 PC

PE

Information 2007. 3. 30. 11:52

PE(Poly Ethylene)

 

1. '폴리에틸렌수지'


Polyethylene의 역사는 1933년 영국의 ICI사의 연구실에서 고압실험 때에 우연히 발견된 수지로 고압법에의해 사실상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후 고압 중합에 따르는 공업화 기술의 확립에는 시간이 걸렸는데 1940년의 초두에 미국에서 본격적인 공업생산이 개시되어 석유화학공업의 花形으로 또한 범용 plastics의 대표적인 존재로서 각광을 받게 되었다.


저압ethylene 중합법,ziegler법의 발표는 고압법에서 20년이 지난 1953년으로 Phillips사와 Standard Oil 사의 중압법이 발표되었다. 이 ziegler법의 발견에 뒤를 이어 Natta에 의해 입체 규칙성 polymer 의 발견과 발전이 시작되었다.


2. 종류와 제법


Polyethylene은 제조방법과 성능에서 고압법 polyethylene(저밀도 polyethylene또는 연질(polyethylene) 과 경저압법 polyethylene(고밀도polyethylene 또는 경질 polyethylene)으로 대별된다. 그러나 현대에는 제조기술의 현저한 혁신에 의해 중저압에 의한 저밀도 olyethylene의 제조도 가능하게 되고 고압법 polyethylene, 중저압법 polyethylene의 개념은 명확치 않게 되었다. 또한 polyethylene은 polypropylene 기타의 Olefine계 polymer와 함께 poly olefine으로 총괄하여 불리어 지고 있다.
 
3. 성질

polyethylene 은 포화 지방산 탄화수소계 polymer로 화학적으로는 고분자량의 paraffine이라고 간주된다. 그러므로 각종의 성질이 paraffine과 유사하다.

예를 들면 점화하면 용융하면서 잘 타고 paraffine이 녹을 때와 같은 악취가 나고 수중에 던져버리면 떠오르는데, 이들의 성질은 polyethylene제품의 감별에 이용할 수가 있다.

4. 특수, 개질 Polyethylene


polyethylene은 물성, 성형 가공성이 우수한 것에서 광범위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는데 사용이 쉬운 것, 높은 성능을 갖는 것, 새로운 용도에 대응할 수 있는 특수한 성능을 갖는 것 등의 요망이 있다.
 
이들의 요망에 대응하는 방법으로는 제조 기술의 개량, 공중합에 의한 개량, graft化, 가교와 같은 화학적 개량, 異種polymer충진재 등의 blend에 의한 개량 등이 열거 되고 있다. 여기에서는 공업적으로 중요한 것을 우선으로하여 소개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초산 vinyl의 공중합에 의한 개질 polymer는 EVA수지로도 불리우고 생산량도 많다.
 
5. 성형가공법

PE는 성형가공성이 우수하고 압축성형, 사출성형, 압출성형, 흡입성형, 진공성형 등 많은 성
형법을 적용할 수 있다. 압축성형은 극단에 유동성이 나쁜 초고분자량 PE의 성형이외에는 거의 이용되지 않는데 사출성형에서는 꽤 복잡한 형상의 제품도 용이하게 얻어진다. 그러나 PEL(특히 고밀도의 것)의 성형수축율은 다른 재료보다 크므로 금형의 설계나 성형조건의 선택등에 특별한 고려가 필요하다.
 
흡입성형을 행하는데는 PE는 특히 적당한 성상을 갖고 있으므로 각종 밀도의 PE가 이 방법으로 병 등에 가공되고 능률이 좋은 자동흡입성형기기가 개발되고 있다. 최근 엔젤법, 하이슬라드, 회전성형법등의 분말PE를 이용하는 성형법이 행하여지고 있다.
 
어느 것도 사출성형 기타의 성형법에는 얻어질 수 없는 대형 혹은 특이한 형상의 제품을 경제적으로 성형할 수 있는 특징이 있고 또한 이들의 분말 성형법은 값이 싼 금형을 이용하여 잔류 왜곡이 적은 Stress-cracking에 잘 견디는 제품이 얻어지는 것, 성형품의 두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을 갖고 있다. 현재 이들의 방법에서 성형되고 있는 것에는 대형용기, 드럼 라이너, 운반상자, pot, 후로트, 완구 등이다.
 
6. 용도

PE는 상당히 저온에서도 유연성을 잃지 않고 충격에 강하고 파괴되지 않고 각종의 화학 약품에도 잘 견디고 여러 가지 성형법으로 복잡한 형상의 제품으로 만들 수 있으므로 용도는 대단히 광범위하다.
 
이를테면 사출 성형품에서는 각종용기, 식기, 완구, 일용잡화 등 모든 제품에 저밀도에서 고밀도의 PE까지 이용되고 있는데 열탕소독에도 견디는 고밀도 제품은 식기 등의 호적이다. 완구, 물통, 쓰레받기, 오토바이 후런트카바와 펜다 등의 대형 성형품에도 고밀도 제품이 진출하고 있다. 최근은 맥주와 주스와 같은 병의 운반용기로서 HDPE제품이 다량으로 사용되고 있다.
 
PE제품에서 다른 plastics의 추적을 불허하는 것은 흡입 성형품으로 식료품이나 화장품, 화학약품 등의 보존이나 수송에 깨지지않는 병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병 재료로서는 LDPE가 많이 이용되고 있는데 HDPE는 강성이 크고 두께를 얇게해도 강도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가정용의 등유통 등으로 대표되는 소형드럼통이나 석유통의 대체품이 각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또한 흡입 성형품으로 최근 급속히 늘고 있는 것에 내장 통이 있다. 이것은 금속통이나 종이 용기 중에 집어 넣어 액체 수송용에 사용하는 얇은 두께의 용기로 저밀도 원료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LDPE pipe는 유연하고 질은 상태 그대로 말아서 운반할 수 있으므로 배관작 없이 간단히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산이나 알카리에 강하고 위생적으로 무독한 것으로 광공업, 釀造(양조)공업등에 이용되고 있는 외에 농업에서도 약제살포, 관계용수 관에도 이용되고 간이 수도배수관의 수도 많다. 다만 열에 약하고 꼭 알맞은 배관이 안되는 것이 결점인데 이점은 HDPE의 사용에 의해 보충할 수가 있다.
 
중밀도 PE의pipe는 저밀도 제품과 같이 긴 이로 감아 말을 수 있고 한편 내열성이나 강도가 크므로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어 pipe재료로서 최근 잘 이용되고 있다. PE는 넓은 주파수 영역에서의 전기특성이 우수하므로 내수성이 우수하므로 각종의 방면에 절연재료로서 사용되고 있다.
 
우리 생활에 관계 있는 분야에서는 TV의 feeder선, 전화선의 피복제 등이다. PE는 film으로 가공하기 쉽고 투습성이 적은 것과 간단히 heat seal에 의해 밀봉할 수 있으므로 종이 등의 라미네이트와 함께 식료품, 의약품, 비료, 잡화, 기계공구 등의 포장재료로서 수요가 많다.

농업용으로의 진출도 현저하여 야채나 과실, 화류 등의 온상, 온실, 턴넬재배등에 넓게 이용되고 있다. 그밖에 토목건축의 분야서도 PE가 진출하고 있다. 이를 테면 가옥의 빌딩 등의 기초에 밑 바닥에 film을 깔아 마루 아래로부터의 습기 침입을 막기도 하고 광산이나 턴넬공사 등의 때 콘크리트 방호벽의 외부에 film을 놓고 누수를 막기도 하는 예도 볼 수 있다.
 
압출기에 의해 만들어지는 monofilament(단섬유)는 HDPE제품의 강도가 nylon을 상회하고 비중도 작고 물에 젖어도 강도가 변하지 않는 등의 특징을 살려 어망, rope등 외에 샤워 카텐, 방충망등에 이용되고 있다. 압출성형에서 한번에 네트상의 제품으로 한 것이 있는데 가느다란 실의 제품은 액체나 과실등의 포장자재에 두꺼운 실의 제품은 坦根(탄근), 정원의 칸막이, 쓰레기통 등에 이용되고 있다.
 
또한 HDPE film을 연신하여 가늘게 가른 것은 荷造用(하조용)의 끈으로서 그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데 이것을 짜서 종래의 麻袋(마대)의 대신으로 곡물의 수송에 이용되기도 하고 카펫트나 수예재료등에도 이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 무공해 포장재료로서 개발되고 있는 것에, 탄산칼슘이나 유산칼슘과 같은 값비싼 무기질의 충진재를 다량으로 배합한 sheet가 있다. 이것은 열성형성에 의해서 꽤 복잡한 형상으로 가공할 수 있고 연소 시켜도 발열량이 적고 용융물이 흐름이 없고 흑연이나 유독 gas를 발생하지 않는 특성이 있어 폐기물처리의 용이함의 점에서 주목되고 있는 것으로 통조림 등의 포장재로서 많은 수요가 있는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Posted by skyey
,

PP

Information 2007. 3. 30. 11:51

PP(Poly Propylene)


1. '폴리프로필렌'


PP는 그 제조 기술이나 성능에서 보아도 PE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고분자량, 결정성, 고융점의 PP(isotastic PP)의 발명은 1954년 Italy의 Natta에 의해 이루어 졌다. 그 전년에 독일의 Ziegler가 R3 Al-Ticl4의 복합촉매로 저압에서 고밀도의 PE를 중합가능한 것을 발표했는데 Natta는 이 Ziegler촉매를 modify한 R3 Al-Tic3촉매를 이용하여 PP의 중합에 성공했다.


PP의 공업화는 1957년 Italy의 Montecartin사에 의해 개시되어 세계의 유력 화학 Maker가 다투어 기술도입을 행했다. 또한 Ziegler Natta촉매에 제3성분을 가한 독자의 촉매계에서의 공업화는 미국에서 이루어졌다.


2. 제법


원료인 propylene은 ethylene과 같이 석유naphtha의 분해에 의해 얻어진다. 이 propylene을 저압법 PE의 경우와 유사한 방법으로 용제중에서 Ziegler-Natta촉매와 접촉시켜 상온~800°C, 3~10kg/cm²에서 중합을 행하면 입체 규칙성 PP(이소태틱PP)가 얻어진다.

nCH = CH -------> (-CH = CH-)n
| |
CH3 CH3

polymer중에는 입체 규칙성을 갖지 않는 연화점이 낮은 어태틱PP도 소량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것을 비등 pentane을 이용하여 추출 분리하여 입체 규칙성 polymer 함량을 90~95%정도로 한 것이 성형재료로 시판되고 있다.
 
중합법에는 상기의 Ziegler-Natta촉매를 이용하는 방법 외에도 각종의 방법이 실시되고 있는데 어느것도 입체 규칙성 polymer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ethylene 그 밖의 olefine류나 vinylmonomer를 공중합 시키기도 하고 기타 polymer를 blend한 재료도 시판되고 있다.
 
3. 성질
 
PP는 각종의 성질이 PE와 대단히 유사한데 비중은 적고(0.90~0.92)소위 plastics에서 최소의 부류에 속한다. 점화하면 PE와 마찬가지로 타는데 특유의 냄새를 내므로 PE와 간단히 구별할 수 있다. PP의 주요한 특색을 간단히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이를테면 HDPE와 비교하면 연화온도가 현저히 높고(순수한 이소태틱PP에서는 융점 176°C) 인장강도, 굴곡강도, 강성 등도 큰데 충격강도는 떨어진다. 적당한 조건하에서 연신을 행하면 인장강도, 강성, 충격강도 등은 향상하고 내곡피로성도 현저히 개량된다. PP의 저온에서의 내충격성은 PE보다 떨어지는 것이 결점인데 최근에는 PP의 저온취성을 개량하기 위해 ethylene 그 밖의 olefine계의 monomer를 소량 공급하기도 하고 또는 고무계의 폴리머를 blend 하기도 한 품종이 성형재료로 시판되기도 한다.
 
PP의 기계적 성질은 각종의 충진재의 배합에 의해 변화 시킬 수 있다. 또한 열팽창율을 열경화성 수지를 동정도로 떨어뜨릴 수 있다. 전기적 성질 중에서 유전율이나 역율은 PE와 대충 마찬가지로 내아크성은 약간 우수한데 고주파 절연재료로 우수한 성능을 갖고 있다. PP의 내약품성은 HDPE와 동등내지 약간 우수한 정도인데 stress-cracking에 대하는 저항성이 PE보다 꽤 우수한 특징이 있다. PP는 PE와 같이 방향족 탄화 수소나 염화수소에는 80°C 이상에서 용해하고 상온에서는 겨우 팽창하는 정도이다. 그 외에 접착가공이나 견고한 인쇄는 곤란하고 PE의 경우와 같은 표면처리를 행할 필요가 있다.
 
PP분자의 주쇄에는 methyl기를 부가한 제3급 탄소원자가 무수히 포함되어 있다. 이 제3급 탄소원자에 부가하여 있는 수소원자는 산소나 오존의 공격을 받기 쉬우므로 PP는 PE보다도 산화에 대한 저항성은 꽤 적다. 거기다 PP는 가공온도가 높으므로 산화방지 문제는 특히 중요하다. 산화방지제로는 alkyl-phenol과 유기 유황 화합물 또는 amine 화합물과 축합시켜 이용하면 상승효과가 있는 것이 알려지고 있다. 또한 자외선 열화 에 대해서는 PE의 경우와 같이 carbon-black이나 유기 자외선 흡수제의 배합이 효과적이다.
 
PP의 투명성은 PE보다도 꽤 우수하다. 이것은 우수한 기계적 강도나 내열성이 서로 보완되어 film등의 포장재료로 사용하는 데에 특히 바람직한 성질이 있는데 그 위에 투명도를 늘리기 위해서는 결정조핵제의 첨가가 유효하다. 조핵제라는 것은 PP의 결정핵으로 되는 것으로 이것을 적정량 배합하면 용융polymer의 냉각시에 극히 미세한 구조의 생성을 촉진하기위해 투명도가 좋게 되고 강인성이나 저온에서의 내충격성도 약간 향상하게 된다.
 
조핵제로는 방향족 carbon산의 Na, Zn, Al등의 금속염이 유효하다. PP film은 표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체 투과율은 HDPE보다 약간 크므로 화장품이나 식료품의 포장에 사용하는 경우는 향료의 散逸(산일)에 주의하지 않으면 안 된다.
 
표1. PP와 PE film의 기체 투과율 비교
====================================================
기체 PP LDPE HDPE
----------------------------------------------------
탄산가스 1.7 7 1
산소 2.4 7.1 1
수소 1.6 2 1
질소 1.5 7 1
methane 1.3 8.9 1
=====================================================
 
4. 성형가공

PP는 PE 와 같이 성형성이 좋은 보통의 type의 사출성형기나 압출기를 이용하여 각종의 성형품, 봉, pipe, film, sheet병, monofilament등에 가공할 수 있다. 성형수축율은 HDPE보다 적고 수축율의 방향성의 정도도 적으므로 적당한 성형조건을 선택하면 치수정도가 양호한 잔류왜곡이 적은 성형품을 얻을 수 있다.

PP를 연신하면 내곡피로성이 현저히 향상하는데 이 성질을 잘 이용하여 각종 용기의 뚜껑과 본체를 연결하는 일체성형 hinge를 사출성형 할 수 있다. 즉 뚜껑과 본체의 사이가.25~0.5mm정도의 막으로 연결되도록 만든 금형으로 사출성형하여 완전히 냉각하기 전에 취출하여 즉시 hinge부를 꺽어 구부려 연신효과를 부여하면 이 부분의 내피로성이 향상하여 Design과 성형조건이 적정하면 0도에서 300만회 이상의 개폐에 견디는 것이 얻어진다. 그러나 금형의 설계에 있어서 gate위치에 주의하여 성형재료가 hinge부를 직각으로 橫切(횡절)하여 흐르도록 성형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PP의 연신효과를 이용하여 투명도와 충격에 강한 중공제품을 얻는 연신흡입성형이라 부르는 성형기술이 이미 개발되었다. 이것은 일당 성형된 parison을 재가열하여 적당한 온도에서 연신하면 동시에 흡입성형을 행하는 방법으로 통기성도 통상의 흡입 성형품 보다 적은 것이 특색이다. PP의 film과 라미네이트는 T-die법에 의한 경우는 PP용의 설비를 그대로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통상의 공냉방식을 채용하고 있는 inflation법에서는 film의 냉각속도가 늦으므로 무르고 투명도가 나쁜 film이 얻어진다. 그러나 최근에는 수냉 자켓을 이용하기도 하고 물을 직접 film과 접촉시키기도하는 급냉방식이 개발되어 PP의inflation film도 대량으로 생산되고 있다.

또한 PE, EVA, Polyamide, Poly, vinylidene등과의 복합 film도 T-die법 또는 inflation 법에 의한 복합 압출에 의해 제조되고 있다. PP film은 강인하고 투명성이 좋은 것이 특징인데 이것을 가열하면서 종과 횡으로 引延(인연)하여 이축연신하면 강도나 제물성이 매우 향상된다. 이축연신의 방법으로는 우선 종방향으로 연신한 후 덴타 크리프로 양단을 잘라 횡 방향에도 연신하는 방식과 튜브상의 film에 가압공기를 보내 넣어 종횡의 양 방향을 동시에 연신하는 방식 등이 있다.

일축연신 film은 종방향으로 찢어지기 쉬우므로 약간 횡방향으로 신장하면서 기계적인 자극을 부여하면 불연속적인 裂目(열목)을 무수히 넣을 수 있다. 이 조직을 휘브릴화라 부르는데 이것에 의해 섬유제품과 유사한 감촉을 갖는 tape상의 제품을 얻을 수 있고 또한 편직공정에 의해 카펫트나 푸대등에 가공하는 것도 행하고 하고 있다. PP sheet도 PE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는데 이것은 가공성이 좋으므로 진공성형 기 타의 sheet가공용 소재로 이용되고 있다.

5. 용도


PP제품의 이용분야는 PE와 거의 같은데 그 특성을 살린 독특한 제품이 넓은 분야에 거쳐 개발되고 있다.
 

⊙사출 성형품 ; PP의 사출 성형품은 식기, 물통, 욕실용품 등의 가정용품이나 완구등의 잡화품, 약전기기나 자동차 부품의 공업용품에 그 성형성, 표면광택,투명성등이 환영되어 매년 수요가 늘고 있다.


특히 주목되고 있는 것은 맥주병 등의 수송용 상자, 농수산물의 수확container등의 대형성형품의 분야이다. 이것은 앞에 기술한 바와 같이 PP의 약점으로 되어 있는 내한성, 내충격성을 개량한 grade로 개발되었기 때문으로 종래 이 분야에서 사용되어 있던 나무상자가 완전히 대체되었다. PE가 이 분야에서의 유력한 경쟁상대인데 강성, 표면광택, 내구성, 성형성 등의 점에서 PP쪽이 보다 많이 이용되어지고 있다. 또한 stress-cracking에 잘 견디는 것도 화학약품등의 용기로 하는 경우에는 PE보다도 유리하다.


PP는 종래 가장 도금이 곤란한 plastics의 하나였었는데 최근 밀착성이 좋은 도금 grade도 생산되고 있다. 이것은 도금의 전처리로 중요한 크롬 유산에 의한 etching공정에서 용출되어 지는 충진재 또는 polybutadiene성분을 blend또는 공중합한 것이라 할 수 있고 이 용출의 의한 표면이 粗面化가 금속층과 素地(소지)와의 밀착성 향상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PP의 도금제품은 ABS수지의 경우보다도 내열성이 우수하고 또한 가격이 싸므로 이 분야에 있어서 소비량은 급격히 늘고 있다.


⊙FILM SHEET ; PP film은 강력하고 또한 셀로판과 같은 투명성의 것이 용이하게 얻어지므로 포장용 film으로 대량으로 이용되고 있다. 또한 자동포장기의 보급에 따라 강한 film이 요구되어 지는것도 PP의수요를 자극하는 요인이다. 또한 이축연신한 film은 저온시의 충격성이 현저히 개선되고 있으므로 식품포장용의 투명 film으로 넓게 이용되게 되었다. 또한 저온취성이 개량된 grade의 개발에 따라 압축성형 sheet의 열 성형품이 각종 냉동식품의 포장용기로 급속히 그 시장을 확대하고 있다. 도한 PP sheet는 내약품성이 요구되는 분야에서의 라이닝 재료로서도 호평이다.


⊙Yarn, 그 밖의 압출성형품 ; PP의 일축연신 film을 종으로 잘게 자른 슬릿트 yarn이나 또한 이것에 무수한 裂目을 부여한 스플릿트-yarn은 하조용의 끈, 결속tape, 수예재료등에 호평이고 또한 유연성을 갖는 발포 스플리트 yarn복합 film에서 만든 yarn충전재합법 yarn등도 실용화 되고 있다.


특히 yarn을 짜서 만든 크로스 푸대는 장래의 마푸대 대신에 쌀푸대등의 곡물이나 화학비료의 푸대, 토목공사용의 모래푸대등의 대량으로 진출하고 있다. 또한 yarn을 짠 제품은 실내장식의 크로스, 카페트, 커튼 등에도 상당량 이용되고 있다. 그 밖의 압출성형품에도 PP의 제품을 살린 여러가지 제품이 있다. 이를테면 monofilament는 어망이나 rope, 공업용직포, 의료품등에 이용되고 포 용의 결속밴드는 종래의 마종이 tape, 스틸밴드에 대신하여 시장을 점유해 나가고 있다. 또한 단볼紙의 단면으로 되도록 만든 corrugate sheet는 내수성이 우수한 바킹 케이스, 간이건축물 지붕 재료로서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흡입성형품 ; 흡입성형 분야에서는 PE에 압도 당하고 있는데 수통, 포유병,마법병등 내열성이 요구되는 제품은 호평이다. 흡입성형 직전에 parison을 기계적으로 연신하는 연신 흡입성형에 의하면 재래법에 비교하여 투명성, 내충격성, 강성, 기체차단성등 우수한 병이 얻어지고 식료품이나 의료관계로의 수요가 기대되고 있다.


⊙공업재료 ; PP의 각종의 기계적 강도는 nylon에 거의 필적하고 내약품성도 우수하므로 공업용부품으로도 이용되고 특히 내산성이나 내 알카리성이 요구되는 화학 장치의 부품이나 라이닝 재료에 호적이다.


⊙섬유 ; PP섬유는 공업화의 당초에는 촉감이나 風合, 염색등의 점에서 합성섬유에 떨어져서 주로 포, 어망, 로프등의 산업재료로서 이용되어 왔는데 최근은 니들펀치카펫트의 원료섬유로서 인테리어 관계에도 대량의 수요가 보여진다. 또한 특수한 기법에의한 방석면의 개발도 행해지어 그 가벼움, 보온성, 탄력성, 싼 가격등의 이점을 살리어 수요의 확대가 꾀해지고 있다. 한편 PP섬유의 소수성을 살린 용도에 흡유성 매트가 있다. 이것은 수면상에 떠 있는 기름 먼지를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성질이 있으므로 사고 등에 의해 수면상에 유출한 원유나 공장배수중의 유분의 회수와 확산 방지용의 자재로서 각종의 형태로 가공된 섬유제품이 공해 방지 때문에 이용되고 있다.


6. PP공중합체


PP에 다른 olefine류나 불포화 화합물을 공중합시키면 여러 가지 성상의 공중합체가 얻어지고 이 분야에서의 연구성과도 다수 발표되고 있는데 여기서는 공업적으로 중요한 제품만 간단히 소개한다.
 

6-1. Ethylene-propylene


종래 ethylene과 propylene의 공중합에 얻어지는 고무를 EPR, diene계 monomer를 첨가하여 얻어지는 3원 공중합체를 EPT라고 부르는데 최근에는 ASTM의 기준에 따라 전자는 EMP, 후자는 EPDM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본 장에서는 양자를 합쳐 ethylene-propyleme 고무라 총칭하여 기술하도록 한다.


먼저 ethylene-propyleme의 혼합gas를 Ziegler촉매로 처리하면 바타상 내지 고무상의 균일 공중합체가 얻어진다. 이 중 ethylene함유량이 40~70%의 것은 합성고무로 하여 사용할 수 있고 원료도 싼 것이 특징이다. 이것은 분자구조적으로 불포화결합을 머금지 않으므로 내노화성은 대단히 우수한데 통상의 고무와 같은 이온 유황가루는 행하지 않는다. 유기 과산화 물에 의해 가교구조로 하는 것은 가능한데 점착성, 인열강도, 내마모성등은 다른 합상 고무에 비교해 떨어지고 또한 가류에 익숙한 고무 가공업자에서는 호평을 받지 못한다. 이점을 개량하기 위해 계에 제3성분으로 비 공역의 diene성분을 공중합시켜 분자내에 가류에 이용하도록 포화 결합을 남긴 EPDM이 개발 되었다. 공업적으로 이용되는 diene류에는 1.4-hexa diene, cyclopentadiene, 5-ethylidene-2-norbornene등이 있다 .


EPDM은 어느 고무보다도 밀도가 적고(0.86~0.89), 유황, 과산화물, 키노이드류 등에 의해서도 가류 가능하고 내오존성, 내후성, 내열성, 내전압, 내수증기성등이 다른 모든 고무보다도 우수하다. 또한 다량의 신전류나 충진재를 배합하는 것도 가능한데 소련 효과가 없고 롤 가공성이 부족하고 타이어 코드화의 접착성이 부족하고 가류 속도가 적은 등의 이유로 와인드 실이나 가스켓트, 호스등의 공업용 부품이나 전선피복제등에 이용되는 특수 고무로서의 수요에 접근하고 있다. 그러나 연질상에 EPDM(또는 buthyl고무)을 연질상으로 PE또는 PP를 이용한 열가소성 elastomer는 싼 가격으로 성형성이 우수한 고무 탄성을 갖는 재료로서 자동차 부품, 전선 피복재료, 스포츠 용품, 가전제품의 플러그 등에 이용되고 있고 그 수용량은 근년 급속히 증대해 가고 있다.


6-2. Ethylene-propylene block 공중합체


上記의 ethylene-propylene고무는 완전히 무정형의 균질공중합체 인데 anion계 배위 중합 촉매를 이용하면 polymer의 결정성과 입체 규칙성을 그대로 인계한 구조의 block 공중합체가 얻어진다.(표 2)


표2. Ethylene propylene공중합체의 type과 특성
==========================================================
Type 특 징 용 도
--------------------------------------------------------------------
랜덤공중합체 결정성 저하, 내한성film, 투명성 광택 양호, 유연 투명 blow용기
heat-seal성film Block 랜덤과 블록의 중간적 성질, 내한성 film 랜덤공중합체 강도, 내충격성과의 발란스로 랜덤보다 우수하다.


Block PE, PP부는 사용하지 않고 공중합체 각각 독립한 영역을 형성, 강도, 내충격성의 발란스 양호 PP, PE PP, PE부의 결정성은 거의 성형용의 내충격 블록 공중합체 저하하지 않는다. 강도, PP는 전부 이type, 혼합물 내충격성의 발란스에 우수하다. 맥주 등의 각종 내 크리프성 양호,투명성 콘테이너 광택은 떨어진다.
==========================================================

이 공중합체는 강성, 내충격성에 우수하므로 보다 소량의 재료로 양질이 제품을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취화 온도 40°C 이하 열 변형온도 90°C(4.6kg/cm²)로 polyolefine중에서는 최고 부류에 속하고 성형 수축율은 LDPE의 1/2정도로 인장강도, 표면경도, 내마모성등은 HDPE를 상회하는 등의 특징이 있다. 또한 stress-cracking성, 내곡피로성 PP보다 우수한 성능을 갖고 있고 일체성형 Hinge를 갖는 성형품에 호적한 재료라고 말해지고 있다.


용도로서는 상기와 같은 특성을 살리어 냉동식품의 포장용기, 열 소독을 요하는 식기용기, 스냅 휘트로 조립하는 용기, 공업부품, 완구등에 이용되고 있다. 또한 기타의 polyolefine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도 제조가능하고 그 성질은 통상의 공중합체와는 다른 특이한 성질을 갖고 있으므로 광범위한 분야에서 새로운 응용분야를 개발하는 것도 기대되고 있다.


Posted by skyey
,

PC

Information 2007. 3. 30. 11:50

PC(Polycarbonate Sheet - 이하 PC)


1. '폴리카보네이트시트'


폴리카보네이트 시트(Polycarbonate Sheet -이하 PC)는 1953년 독일 Bayer사의 H.Schnell에 의해 최초로 개발되어 1958년 동사에서 처음 상업용으로 생산된 열가소성 소재이다.


강화유리의 150배, 판유리의 250배 이상의 충격도로 유리의 단점인 내충격성과 장점인 투시성을 완벽하게 보완해 낸 PC는 각종 안전사고나 도난사고로부터 인명과 재산을 보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완벽한 유리의 대체 소재로 인정받았다.


2. 유리 대용의 건축용 소재로 출발


PC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일종으로 수지층(RESIN)+유리섬유층(FIBER GLASS)+수지층(RESIN)의 3겹으로 구성된다. 잘 깨지고 변형되기 쉬운 아크릴의 대용재이자 일반 판유리의 보완재인 PC는 광고용 소재로서 보다는 건축용 소재로서 그 활용도가 크다.

활용범위는 건물의 외벽과 천장, 건물의 연결통로 등 유리가 사용되는 곳이나 수영장, 실내체육관, 수 족관, 식물원 등 빛의 투과성이 필요한 모든 곳에 사용이 가능하다. 특히, 안전을 강조하는 곳, 동물원 울타리, 자동판매기, 공중전화 부스, 그리고 옥외광고에서는 버스쉘터 커버 등 광고물의 보호를 위해 사용되고 있다.
 
3. 폴리카보네이트의 특징
 
1)충격에 강하다 : PC는 같은 두께의 강화유리보다는 150배, 판유리보다는 250배, 아크릴보다는 30배 정도의 높은 강도를 가지고 있다. 지난 코사인 쇼에서는 한 제작업체가 PC로 만든 박스 안에 상품을 넣고 해머를 옆에 둔 채 "깨서 가져가세요"라는 문구로 방문자들의 높은 관심을 끌기도 했다.

2)내구, 내후성이 뛰어나다 : 아크릴 같은 경우는 열변화에 민감해 더운 여름철이라도 지나고 나면 쉽게 휩 현상이 나타나는 반면, PC는 표면에 특수코팅 처리가 되어 있어 여느 기후변화에도 쉽게 변질되지 않는 성질을 갖는다.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사계절에 따른 기후변화가 뚜렷한 곳에서는 그 특성이 아크릴에 비해 뚜렷이 나타난다.

3)시공이 편리하다 : PC는 소재 특유의 탁월한 유연성으로 여러 형태의 곡면 시공 등에서는 유리에 비해 다양한 형태와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다루기가 편하여 전동드릴을 이용해 구멍을 내거나 나사를 이용하여 고정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톱 등의 절단공구를 이용하여 손쉽게 원하는 모양의 절단 가공할 수 있으며, 전용 접착제를 사용하여 각종 시트를 쉽게 부착할 수도 있다.

4)채광성이 좋다 : 가시광선 투과율이 유리와 동일하여 자연 채광이 필요한 천장이나 창문에 유리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PC에는 포장용 비닐이 양면으로 1장씩 붙어 있는데 그 중 상표가 인쇄되어 있는 면은 UV(자외선 차단)코팅이 되어 있기 때문에 버스쉘터 등 옥외의 광고물에 사용될 때 광고물의 변색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햇빛을 받는 면에 구분해서 사용해야 한다.

5)가볍고 안전하다 : 중량이 유리의 절반에 불과하고, 깨지는 성질이 거의 없어 하중이 고려되는 고층건물이나 벽면의 대형 사인 사용시 안전성이 높다. 또한 가볍기 때문에 운반이나 시공으로 인한 인건비의 절감 효과가 있으며, 화재의 강한 열에는 녹아 내리지만 자기소화성이 있어 불길을 일으키지는 않는다.
 
4. 사인의 소재로 등장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PC는 다양한 장점으로 유리 대용의 건축용 소재로 자리를 굳혀왔다. 이러한 PC가 위와 같은 장점이 부각되면서 광고용 소재, 즉 직접적인 광고물의 표현 소재로서는 사인 시장에서 처음으로 활용되기 시작하였다.

플렉스의 등장과 함께 플렉스의 장점이 부각되면서 이전의 주요 사인 소재였던 아크릴과 네온은 서서히 자리를 잃어갔다. 물론 네온은 아직까지도 그 명맥을 유지하고는 있지만 아크릴 같은 경우는 현재 사인소재로서는 그 이름의 무게가 많이 가벼워졌다.
 
이 후 플렉스는 대형 옥외광고와 사인의 핵심 소재로 각광을 받으며 발전해 왔으며, 현재까지도 그 명성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 기업들의 CI가 바뀌고, 각 업종의 프랜차이즈가 이루어지면서 조금 더 개성있고 다양한 표현의 사인이 요구되면서 그때까지만 해도 일부 고급 상점에서나 쓰이던 PC가 사인의 소재로 등장하게 되었다.
 
5. 성형에 의한 입체감 표현과 대량 제작에 유리 PC는 열가소성 수지로서 열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표현이 가능하면서 실크스크린 인쇄와 금형제작을 통한 성형에 의해 대량 제작될 경우, 제작비가 플렉스 사용보다 저렴하게 들며, 성형에 의한 제작으로 입체감 있는 사인물을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특히, 대량제작이 필요한 맥도날드, 버거킹 등 패스트푸드 업체와 한빛증권, SK, 삼성 등 많은 대리점을 보유하고 있는 업체들을 중심으로 이러한 PC 사인이 빠르게 보급되고 있다. 또한, 전기 절연성과 광투광성이 좋아 야간조명의 사인으로도 적합하기 때문에 고급스러운 느낌을 필요로 하는 상점들은 채널사인의 소재로도 활용하고 있다.
 
Posted by skyey
,